728x90 반응형 목표는!!칼퇴!! (엑셀함수)14 (엑셀/Excel/함수) 다른 시트 셀 값 가져오기 - INDIRECT() 목차 1. 다른 시트 셀 값 가져오기 - 첫 번째 2. 다른 시트 셀 값 가져오기 - 두 번째 = INDIRECT( " [ 시트명 ] ! [ 셀 위치 ] " ) 다른 시트에 셀 값을 가져오는 INDIRECT() 함수입니다 하나의 셀 값을 가져올 수 있지만 범위를 지정해서 지정한 셀 값들을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 1. 다른 시트 셀 값 가져오기 - 첫 번째 먼저 Sheet2의 B3에 "티스토리"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Sheet1로 돌아와서 B1에 함수를 입력합니다 =INDIRECT("Sheet2!B3") 결과적으로 Sheet1의 B1에 Sheet2의 B3에 값이 입력됩니다 🧾 2. 다른 시트 셀 값 가져오기 - 두 번째 이번에 다른 방법입니다 B1에 함수를 입력합니다 =Sheet2!B3 결과는 똑같습니다 .. 2023. 9. 28. (엑셀/Excel/함수) - COUNTIF(), COUNTIFS() - 선택한 셀에 조건에 맞는 값은 몇 개 일까??? 지정된 범위에 원하는 값이 몇 개인지 확인하는 함수입니다 COUNT() 함수와 IF() 함수를 합친 거라 보시면 됩니다 목차 1. 특정 값의 셀이 몇 개인지 새기 - COUNTIF() 2, 특정 조건에 맞는 셀은 몇 개인지 새기 - COUNTIFS() 🪧 1. 특정 값의 셀이 몇 개인지 새기 - COUNTIF() COUNTIF( [범위], [비교값] ) =COUNTIF(B2:C9, "네이버") 범위 내 "네이버"는 2개 입니다 🪧 2. 특정 조건에 맞는 셀은 몇 개인지 새기 - COUNTIFS() COUNTIFS( [범위], ["조건"], [범위], ["조건"] ···· ) =COUNTIFS(B2:B9, ">6") 범위 내 2보다 큰수는 2개 입니다 =COUNTIFS(B2:B9, "2") 범위 내 2보다.. 2023. 8. 31. (엑셀/Excel/함수) - COUNT(), COUNTA() - 선택한 셀에 값이 입력된 셀은 몇 개 일까?? COUNT()는 입력된 값이 숫자 형식인 경우만 개수를 새고 COUNTA()는 문자 형식, 숫자 형식 등등을 가리지 않고 값이 입력된 개수를 샙니다 목자 1. COUNT() 알아보기 2. COUNTA() 알아보기 *️⃣ 1. COUNT() 알아보기 =COUNT(B2:B9) 단 숫자 형식이 아닌 값이 입력된 부분은 재외 합니다 *️⃣ 2. COUNTA() 알아보기 =COUNTA(B2:B9) 어떠한 형식이든 셀에 값이 입력된 개수를 샙니다 Microsoft VBA >>> COUNT 함수 - Microsoft 지원 구독 혜택을 살펴보고, 교육 과정을 찾아보고, 디바이스를 보호하는 방법 등을 알아봅니다. Microsoft 365 구독 혜택 커뮤니티를 통해 질문하고 답변하고, 피드백을 제공하고, 풍부한 지식을 갖.. 2023. 8. 31. (엑셀) 조건문 중 "IF" 알아보기(단일/다중 조건) = IF() 🆚 단일 조건 구조 =IF( [조건], [참], [거짓] ) 비교 연산자 종류 = 같다 다르다 > 크다 (초과) = 크거나 같다 (이상) 2023. 8. 6. (엑셀함수) 필터로 정렬된 셀 값 합계 구하기 =SUBTOTAL() 많은 양의 자료 중에 원하는 자료만 모아서 보기 위해 "필터" 기능을 많이 사용하는데요 필터링을 해서 화면에 표시된 셀 값만 합계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SUNTOTLA() 함수입니다 =SUBTOTAL(계산 방법, 셀 범위) 계산 방법 종류입니다 AVERAGE (평균) COUNT (숫자 개수) COUNTA (셀 개수) MAX (최댓값) MIN (최솟값) PRODUCT (곱하기) STDEV (표본집단의 표준편차) STDEVP (모집단 전체의 표준 편차) SUM (더하기) VAR (표준집단 분산) VARP (표준집단 분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계산 방법은 COUNTA, SUM 두 가지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진과 같은 시트에서 "출장"으로 사용한 금액과 "외근"으로 사용한 금액 그리고 "출장"과 "외근" 건수까.. 2023. 7. 22. (엑셀함수) 문자 바꾸기 / =REPLACE() 문자열중에 원하는 문자를 찾아서 원하는 문자로 바꿔주는 함수입니다 예를들어 "부산광역시 영도구" -> "부산광역시 수영구"로 바꿔 보겠습니다 문자위치부터 확인하고 공백도 자리수에 포함 됩니다 =REPLACE( [대상 문자열], [시작 위치], [바꿀 문자수], [바꿀 문자] ) "영도"를 "수영"으로 바뀔려면 "C3"에 함수를 입력합니다 =REPLACE(B3, 7, 2, "수영") 위 사진을 참고해서 "영도"시작 위치는 7이고 문자수는 2개 입니다 그리고 바꿀 문자는 "수영" 그럼 "부산광역시 영도구" -> "부산광역시 수영구"로 바뀝니다 만약 찾은 문자수는 2개인데 바꿀 문자수가 3개이면?? "C3"에 함수를 입력합니다 =REPLACE(B3, 7, 2, "망미동") 결과적으론 "영도"라는 문자를 "수영.. 2023. 7. 1. (엑셀함수) 공백 없애기 / =TRIM() 공백을 제거하는 TRIM() 합수입니다 예를들어 주소를 붙여넣기합니다 그런데 단순하게 복사해서 붙여넣기를 하다보면 복사한 값들이 통일되어 작성된게 거의 없다고 봅니다 그래서 이런 공백이 포함된 문자열에 공백을 제거하는 TRIM() 함수입니다 함수를 입력해봅니다 "C3"에 =TRIM(B3) "C4"에 =TRIM(B4) "C5"에 =TRIM(B5) 결과값은 셋다 똑같습니다 먼가 이상한데?? 보시면 문자와 문자 사이의 공백은 없어지지 않습니다 확인결과 공백 한칸은 지워지지 않네요 마지막 주소에 공백을 더 입력하고 확인해 보겠습니다 이유를 모르지만 문자와 문자 사이의 공백 한칸은 지워지지 않네요 결론적으로는 TRIM()를 사용하면 양쪽 끝에 공백과 문자와 문자사이의 공백 한칸을 제외하고는 다 지워진다고 보시면 .. 2023. 6. 29. (엑셀함수) 문자열 자르기 / =Right, Left, Mid 문자열에서 필요한 문자만 추출해서 사용할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소에서 "부산광역시 영도구 티스토리아파트" "영도구"라는 문자만 찾고 싶을때나 "부산광역시"만 찾고 싶을때와 마지막에 있는"아파트"만 찾고 싶을때 사용할수 있는 함수 입니다 먼저 알아야할 부분은 문자의 위치 입니다 현재 주소의 문자 위치는 "부" = 1 ~~~ "트" = 17 여기서 중요한건 공백도 위치에 포함 됩니다 이제부터 찾아보겠습니다 "B2"에서 "E2"까지 병합을 하고 "부산광역시 영도구 티스토리아파트"를 입력합니다 (문자열이 길어서 병합했습니다) 1. "부산광역시" 찾기 (=LEFT) "C4"에 함수를 입력합니다 =LEFT(B2, 5) "B2"에 입력된 문자열중에 왼쪽 1번째 문자에서 부터 5개 문자를 찾아서 표시합니다 =LEF.. 2023. 6. 27. (엑셀함수) 날짜 형식 변경하기 / =TEXT() TEXT() 함수를 사용해서 날짜를 원하는 형식으로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같은 날짜이지만 2023-06-25 2023/06/25 2023년6월25일 2023년06월25일 등등 년도를 두자리로 표시 하는 방법 23-06-25 23/06/25 23년6월25일 23년06월25일 등등 형식이 많다보니 제일 많이 사용하는 형식 몇가지만 보겠습니다 "B2"에 "20230625"를 입력하고 "C2"에 함수룰 입력합니다 =TEXT(B2, "0000-00-00") 이게 제일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B2"에 입력한 값은 그냥 문자열입니다. 날짜형식의 문자열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면 변환되지 않습니다 날짜형식의 문자열을 입력하신후 변환하시면 됩니다 그외 형식 입니다 2023/06/25 =TEXT(C2, "yyyy.. 2023. 6. 25.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